그런 이론이 있어요 경제지리학인데
어떤 지역의 번창 혹은 몰락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소가 뭔지 분석하는 거예요
어떤 교수가 통계를 정리하고 있었대요
연구팀과 미국의 주요 도시 순위를 매긴 거죠
한 도시에 얼마나 많은 talent가 모여있느냐를 기준으로요
연구팀이 조사를 하던 중 이상한 점을 발견해요
자기들이 조사 하던 것과 유사한 순위표를 발견한 거예요
그 순위표는 바로 게이 지수였어요
도시마다 동성애자의 거주 비율을 정리한 순위표였죠
동성애자의 거주 비율이 높은 도시 순서대로 순위표를 만들어보니
놀라운 게.. talent를 기준으로 만든 순위표와 거의 같아요
두 지표가 유사하게 나온 이유를 분석하면서
3T 이론이라는 게 나옵니다
순서를 매겼어요
첫번째는 테크놀로지
어떤 지역의 과학기술 지수가 높은가
두번째는 텔렌트
재능있는 사람들이 많은 도시가 어디인가
재능있는 사람들이 많으면 그 도시가 과학기술 수준이 높고 발전하게 되는 거예요
그러면 왜 이 지역에는 재능있는 사람들이 많이 모였나 그 이유를 찾아보니까
세번째 톨러런스
포용성이 있었던 거죠
그렇다면 왜 게이 지수가 포용성의 지표가 되는 지를 알아봤더니
동성애자는 제일 마지막까지 차별을 받는 소수집단이래요
그래서 그 사람들끼리의 전국적인 네트워크가 있어서
우리들이 살기 좋은 동네가 어디인지 정보를 끊임없이 교환한대요
지난 몇십 년간 거기가 샌프란시스코였잖아요
거기서 지금 IT산업들이 폭발하고 있고요
동성애자들까지도 별 문제를 느끼지 못하고 살 정도의 도시라면
모든 유형, 모든 종류의 괴짜들이
그 지역에서 살 수 있다는 거예요
포용성이 재능있는 사람들을 모이게 하고
재능있는 사람들이 모인 곳에서 기술혁신이 일어난다는 이 가설을 만든 거예요
독일이 2차세계대전이 끝난 후 미국에게
과학기술 1위 자리를 단숨에 빼앗긴 것도
나치 집권 12년 동안
포용성이 완전히 사라졌기 때문인 거죠
유대인만 죽여서 없앤 게 아니고
유대인 피가 섞인 사람, 유대인과 친구인 사람,
탄압을 못 견디는 사람, 동성애자
다 미국으로 빠져 나간 거예요
미국은 그걸 다 받아줬어요
그러면서 2차 세계대전 끝나고 미국의 과학기술 수준이 단박에 1등으로 뛰어올라서 그걸로 지금까지 60년을 먹고 살았어요
근데 이 3T 이론은 단순히 80년대 이후 미국 도시들의 번영과 몰락을 설명하는 이론이 아니에요
그렇죠 17세기 네덜란드도 같았어요
가장 잘 나가던 시기의 영국 사회의 특징을 보면
산업혁명 시기였던 18~19세기에 영국이 굉장히 많이 발전하잖아요
과학기술 분야에서 천재라고 할 만한 사람들, 성공한 사람들, 기술자들이 많이 나오는데
이 사람들의 대부분이 출신이 미천하거나 가난한 사람들이었어요
그 시대의 영국 사회가 포용력이 있었던 거죠
뛰어난 능력이 있고 일을 잘하면
출신과 상관없이 그냥 성공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었다는 뜻이거든요
물론 입증하기에는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겠지만,
이런 법칙은 상당히 많은 시대에서 반복되기 때문에 저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은 것 같아요
'K- 예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무에게도 성적 매력을 못 느낀다는 남자 (0) | 2022.05.26 |
---|---|
27살에 17억 복권 당첨된 카페 사장님 (0) | 2022.05.26 |
신소율이 5년 동안 아버지랑 절연했던 이유 (0) | 2022.05.23 |
김신영이 촬영아닌날 빼고파 출연자들이랑 주고받는 카톡 (0) | 2022.05.23 |
차은우가 전소민한테 먹물을 앞쪽으로 부은 이유 (0) | 2022.05.22 |